본문 바로가기

건강,간호

경동맥 협착증 진단 증상 치료 약물 시술 수술

경동맥 협착증은 뇌졸중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경동맥 협착증을 진단하여 미리 약물 치료나 시술, 수술적 치료를 받는다면 뇌졸중을 예방이 가능하다.

경동맥 협착증이란?

사진출처 : 서울아산병원 홈페이지

 
심장에서 나온 혈액을 뇌로 보내는 역할을 하는 경동맥에 동맥경화가 진행되어 좁아지고 딱딱해지는 질환입니다.
동맥벽이 두꺼워지고, 혈관 벽에 지방이 쌓여 혈관이 좁아지게 됩니다.
경동맥은 뇌로 가는 혈액의 80%를 보내는 중요한 혈관이기 때문에 경동맥이 좁아지고 딱딱해지면 뇌로 가는 혈액공급에 문제가 생겨 뇌졸중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허혈성 뇌졸중의 30%는 경동맥협착증 때문에 발생합니다.
 
 

경동맥 협착증 진단

경동맥 초음파 검사, CT, MRI, 혈관조영술을 통해 진단합니다.
 

경동맥 협착증 증상

경동맥이 절반 이상 막혀도 특별한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증상이 나타난다면 일시적으로 뇌경색과 같은 증상이 나타납니다.
한쪽 팔다리 마비, 시력 소실, 어지럼증, 언어장애, 감각이상, 운동실조증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경동맥 협착증 치료

협착 정도와 증상 유무에 따라 치료가 정해집니다.

1) 항혈소판제 (아스피린, 플라빅스 등)

항혈소판제란 혈액 응고를 촉진시키는 기능을 하는 혈소판의 기능 항진을 억제합니다
 

2) 고지혈증 약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춤으로써 혈관 내에 지방이 쌓이는 것을 예방합니다.
고지혈증이 없더라도 사용하기도 합니다.
리피토, 로수바미브, 크레스토, 리바로정 등이 있습니다.
 

3) 경동맥 스텐트 삽입술

무증상이나 동맥 내경이 70% 이상 좁아진 환자, 또는 유증상의 50% 이상 좁아진 환자에게 필요시 시행합니다.
경동맥 스텐트 삽입술이란 대퇴동맥에 관을 삽입하여 협착증이 있는 부위에 스텐트(그물망)를 펼쳐 좁아진 혈관을 넓혀주는 방법입니다.

사진출처 : 서울아산병원

 

4) 경동맥 내막 절제술

경동맥을 절개한 후 협착된 부분의 내막을 박리 및 절제하는 수술입니다.
 

사진출처 : 서울아산병원

 
 
 
 
 
오늘은 경동맥 협착증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경동맥 협착증이 있다는 것을 알고 미리 치료를 받는다면 뇌졸중이 생길 가능성이 줄어듭니다.
위의 치료 제외하고 고혈압, 당뇨, 흡연, 식사 등 생활 습관이나 약물을 통해
교정가능한 원인을 조절하는 것 도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