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간호

경동맥 스텐트 삽입술 vs 경동맥 내막절제술


 경동맥 협착증 환자의 치료 중 침습적 치료는 경동맥 스텐트 삽입술경동맥 내막절제술로 나누어집니다.
 

-경동맥 내막절제술

사진출처 : 서울아산병원

 
경동맥 협착증이 있는 환자에게 시행하는 수술로 경동맥을 절개한 후
협착이나  폐색을 일으키는 부분을 절제하는 방법입니다.
심한 경동맥 협착증이 있는 환자에서  뇌졸중을 예방하는데 효과적입니다.
수술의 성공은 제거하고자 하는 병변의 절제를 의미하는데 이는 성공률이 100%에 가깝습니다.
경동맥 내막절제술은 전신마취가 필요하고, 목의 신경이나 혈관을 손상시킬 수 있고
회복기간, 입원 기간이 길다, 흉터가 남는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합병증

수술 도중 발생한 색전 및 혈전이 뇌로 이동하여 뇌졸중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수술 과정에서 목 부분에 위치한 신경이 손상되어 쉰 목소리, 변성, 연하장애, 흡인성 폐렴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수술 후 마취로 인한 합병증, 출혈, 통증, 감염, 기저 질환의 악화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질환의 재발 및 사망의 가능성이 있기는 하지만 매우 낮습니다.
 
 

-경동맥 스텐트 삽입술

사진출처 : 서울아산병원

 
 
대퇴동맥을 통하여 카테터를 삽입 후 조영제를 주입하여 경동맥의 협착된 부위를 확인하고
경동맥의 협착된 부위에 풍선 확장술을 시행하여, 스텐트를 설치하는 시술입니다
협착 부위에 혈전이 있다면 혈전 제거도 시행할 수 있습니다.
스텐트삽입술은 흉터가 적고 일상생활로의 빠른 복귀가 가능하며 국소 마취로 시행하며 시술 중 신경학적 변화를 지속적으로 관찰할 수 있고 시술 흉터도 남지 않고 회복시간도 빠르고 입원 기간도 짧은 장점이 있습니다.(보통 3박 4일)
시술 소요 시간은 약 2시간입니다.
그러나 재협착이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고  동맥 혈관의 굴곡이 심한 경우, 동맥경화가 너무 오래된 경우 등 시술이 불가능한 경우가 있습니다.

 
합병증

시술 중 혈관 파열로 인한 출혈이 발생할 수 있으며, 감염, 천자 부위 혈종, 재협착, 심장 서맥, 저혈압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조영제를 사용하기 때문에 과민 반응, 신장 기능 저하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수술이 힘들거나 수술의 위험이 높은 환자에 대해서는 스텐트 삽입술을 시행하는 경우가 많다.
외과적 수술 접근이 어려운 부위의 협착
수술치료의 고위험군 환자 (80세 이상의 고령, 심폐 기능이 안 좋은 사람 등)
 
 

스텐트 시술이 어려운 경우

동맥경화가 진행되어 있는 경우
협착부위에 심한 석회화가 동반된 경우
신장기능이 매우 나빠 조영제 사용이 어려운 경우
 

 

경동맥 내막 절제술 경동맥 스텐트 삽입술
전신마취 카테터 삽입부위(대퇴) 국소마취
입원기간 및 회복기간이 비교적 길다 입원기간 및 회복기간이 비교적 짧다
목 절개 부위 흉터가 남는다 흉터가 거의 남지 않는다.
절개 부위 : 목 카테터 천자 부위 : 서혜부 (대퇴동맥)
수술 후 항혈소판제 복용 필요 수술 후 항혈소판제 복용 필요
전신마취로 인한 합병증이 발생 할 수 있다 스텐트가 재협착이 될 수 있다.
소요시간 :2시간 30분~3시간 소요시간 : 2시간
스텐트 삽입술에 비해 가격이 낮다 경동맥 내막 절제술에 비해 가격이 높다
입원기간 : 약 1주 입원기간 : 약 4일

 

 
 
 

Reference :서울아산병원 홈페이지